오늘은 한컴 오피스 한글 자동 저장 설정과 저장 파일의 위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글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문서 작성 프로그램으로 글을 쓰다가 오류가 나거나 정전으로 인해 비정상 종료가 되어 써 놓은 글을 모두 소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일을 겪게 되면 안타깝고 속이 상하는데요.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문서 작성 프로그램들처럼 한글도 글을 쓰는 동안 쓴 글을 임시로 자동 저장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글 작성 중 자동 저장하게 되면 오류나 정전으로 인해 한글이 비정상 종료가 되어도 자동 저장된 파일을 불러와 비정상 종료 시점에 글의 마지막에 가까운 부분부터 글을 이어 계속 써 갈 수가 있습니다.
글 작성 중 임시 저장을 하는 시간은 컴퓨터의 성능이나 여러 상황을 고려해 자신에게 맞게 설정하면 됩니다.
▣ 한글 자동 저장 시간 설정하는 방법

한글을 실행하고 상단에 도구 탭을 선택하고 아래 메뉴에서 환경 설정을 클릭합니다.

환경 설정 창에서 상단에 파일 탭을 선택하고 아래 설정 메뉴에서 빨간 테두리 안에 복구용 임시 파일 자동 저장 부분에서 글 작성 중 임시 저장 시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시간 설정 항목이 두 가지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한글의 임시 자동 저장 방식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일정 시간마다 글 내용을 저장하는 방식과 일정 시간 동안 글 입력이 없을 때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위의 무조건 자동 저장은 얼마의 시간 마다 자동 저장을 할 지 설정하는 것이고 쉴 때 자동 저장은 얼마의 시간 동안 입력이 없을 때 자동 저장을 할 지 설정합니다. 시간 설정 항목에 체크를 하여 두 방식을 같이 쓸 수도 있고 둘 중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자동 저장 시간 간격을 크게 잡았을 때와 짧게 잡았을 때의 장단점과 컴퓨터의 성능을 고려해 두 항목의 시간을 설정합니다. 컴퓨터의 성능이 좋지 않은데 저장 시간 간격이 짧으면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2. 자동 저장된 파일 불러오는 방법
글을 쓰는 중에 한글 프로그램이 여러 이유로 비정상 종료가 되면 다시 한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임시 저장된 파일을 불러와야 하는데 임시 저장된 경로를 모르면 파일을 불러올 수가 없습니다. 임시 저장된 경로는 다음의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글 프로그램 우측 가장 위에 물음표가 있는데 이것을 클릭하면 위의 메뉴가 뜹니다. 메뉴에서 한글 정보(A)…를 클릭합니다.

위의 한글 정보 창이 뜨고 상단에 폴더 정보 탭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여러 폴더 경로가 나오고 그 중에 임시 폴더의 경로가 있습니다. 이 경로를 드래그하여 복사해 파일 탐색기 경로창에 붙여 넣고 엔터를 누릅니다.

그러면 임시 폴더 경로의 마지막 폴더인 Temp폴더로 이동하게 되고 Temp폴더에서 Hwp 뒤에 숫자가 붙어 있는 폴더를 찾아 그 폴더를 더블 클릭합니다. 제 경우는 위와 같이 Hwp110폴더 입니다. 이 폴더 이름에 Hwp 뒤에 숫자는 한글 프로그램 버전에 따라 다릅니다.
위와 같이 Hwp110 폴더 안에는 빈 문서 1.asv라는 파일이 있는데 이 파일이 한글의 임시 자동 저장 파일입니다. 이 asv파일을 더블 클릭하거나 한글 프로그램의 파일 불러오기를 통해 엽니다. 그러면 글 작성 중에 자동 저장되었던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주의할 것은 이 자동 저장된 글 내용을 열고 이것을 hwp파일로 저장하지 않고 한글 프로그램을 종료하면 빈 문서 1.asv 파일은 사라지기 때문에 임시 자동 저장된 내용을 다시 불러 올 수 없게 됩니다. 그러니 이 파일을 한글 프로그램을 종료하기 전에 hwp파일로 꼭 저장을 해야 합니다. hwp파일로 저장을 하면 빈 문서 1.asv파일은 사라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