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한컴오피스 한글 실행 안 됨 문제 해결 방법 2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글 프로그램 바로 가기를 더블 클릭하여 한글을 실행하려 하면 가끔 로고가 잠시 뜨지만 사라지며 아무 반응 없이 한글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사용자 폴더에 HNC 개인 데이터 폴더에 문제가 생기거나, 한글은 Visual C++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가 필요한데 이 패키지에 문제가 생기면 한글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HNC 폴더를 삭제하거나 이름을 바꿔 한글 실행 환경을 초기화하거나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를 삭제하고 재설치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HNC 개인 데이터 폴더 초기화

[윈도우 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위와 같이 입력란에 %appdata%을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파일 탐색기가 실행되고 Roaming 폴더가 열립니다.
이 폴더 안에 HNC 폴더를 찾아 이름을 위와 같이 HNC_bak이나 이전에 HNC 폴더였음을 알 수 있도록 임의로 변경합니다. 아니면 HNC 폴더를 삭제해도 됩니다.
이제 한글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합니다.
한글 프로그램이 정상 실행이 되었다면 위 폴더에 HNC 폴더가 새로 생성이 되고 이름을 변경한 HNC 폴더는 삭제하면 됩니다.
여전히 한글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다면 이름을 변경한 HNC 폴더를 그대로 두거나 삭제된 상태에서 아래의 방법으로 넘어갑니다.
2.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 재설치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를 먼저 삭제하기 위해 [윈도우 키 + I]를 눌러 윈도우 설정을 실행합니다.

위의 설정 창에서 좌측 패널에 앱을 선택하고 오른쪽 메뉴에 설치된 앱을 클릭하면 위의 페이지가 열립니다. 설치된 앱 목록을 찾아보면 위와 같이 시스템에 설치된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를 버전 별로 볼 수 있습니다.
삭제는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 우측에 점 세 개(더 보기)를 클릭하여 뜨는 팝업 메뉴에서 제거를 클릭하면 됩니다.
설치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에 따라 필요로 하는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가 다르기 떄문에 한글 버전에 따라 제거해야 하는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도 다릅니다.
아래는 한글 버전별 제거해야 하는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 버전입니다.
- 한글 2014 : Visual C++ 2008
- 한글 NEO : Visual C++ 2013
- 한글 2018 : Visual C++ 2013/2015
- 한글 2020 : Visual C++ 2013/2015
- 한글 2022 : Visual C++ 2013, 2015-2019
제거는 위의 설치된 목록에서 (x86)과 (x64)버전 중 (x86)버전만 삭제하면 됩니다. 그리고 위 목록과 같이 2015버전이 없는 경우에는 2015-2019와 2015-2022 버전을 모두 삭제하면 됩니다.
한글 버전에 따라 삭제를 했으면 삭제한 버전을 재설치합니다. Visual C++ 버전 별 다운로드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Visual C++ 2013 재배포 가능 패키지 다운로드
Visual C++ 2015 재배포 가능 패키지 다운로드
Visual C++ 2015-2022 재배포 가능 패키지 다운로드
한글 2022 경우 Visual C++ 2015-2019 재배포 가능 패키지를 요구하지만 2015-2022 버전에 2015-2019 버전이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2015-2022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시면 됩니다.
설치 역시 삭제한 (x86) 버전을 설치합니다.
설치를 마치면 컴퓨터를 재부팅하고 한글이 실행되는지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