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팟플레이어 동영상 GIF 움짤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IF는 인터넷 상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온 이미지 압축 포맷으로 애니메이션 효과도 낼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효과가 들어간 GIF 이미지를 움짤이라고 합니다.
인터넷 상에서 무언가를 설명할 때 움직임으로 보여야 하는 경우 영상은 용량이 부담스러울 수 있기 때문에 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움직이는 이미지인 움짤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GIF 움짤을 만드는 방법은 움짤 제작 사이트나 포토스케이프 같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해 만들 수 있는데 프로그램 설치가 싫으신 분은 움짤 제작 사이트를 이용해도 되지만 팟플레이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팟플레이어는 PC 사용자라면 거의 기본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접근성도 좋고 움짤을 만드는데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여러 설정값을 줄 수 있습니다.
만드는 방법이 어렵지 않으니 아래에서 안내하는 대로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팟플레이어는 재생 전용 팟플레이어입니다.
팟플레이어 창에 마우스 우클릭하여 나오는 메뉴에서 영상 > 동영상 캡처 > 동영상 캡처… 로 이동하여 클릭합니다.
그러면 위의 동영상 캡처 창이 뜨고 기본 설정은 위와 같이 되어 있습니다.
저는 위와 같이 설정을 했습니다. 위의 1, 2, 3, 4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
1 부분 : 우측에 점 세 개 버튼을 눌러 생성된 GIF 움짤 파일이 저장될 위치를 지정합니다.
2 부분 : 끊기 사용에 체크를 하고 보시다시피 시간 단위로 끊기와 용량 단위 끊기가 있습니다.
시간 단위로 끊기는 4 부분에 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움짤이 생성되는 중 설정한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끊겨 움짤 파일이 완성되고 이어서 움짤 파일을 계속 생성합니다.
용량 단위로 끊기 역시 움짤이 생성되는 중 설정한 용량이 되면 자동을 끊겨 움짤 파일을 완성하고 이어서 계속 움짤 파일을 생성합니다.
끊기 사용은 사용자에 기호에 따라 사용 여부를 결정하면 됩니다.
3 부분 : 파일 포맷을 위와 같이 GIF로 변경합니다. 그러면 아래에 영상 코덱도 GIF로 변경됩니다.
나머지 설정들은 당연히 수치가 높을 수록 움짤 파일의 용량이 커지고 수치가 낮을 수록 용량이 작아집니다.
영상 품질은 쉽게 말해 이미지 화질로 저는 2000kbps로 그대로 두었고 영상 크기를 640 x 480으로 낮추었습니다.
FPS는 초당 프레임 수로 움짤 시간을 길게 하기 위해 원본 프레임에서 10으로 낮추었습니다.
자신의 기호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면서 움짤을 생성하여 시험을 해보셔야 합니다.
4 부분 : 위의 설정이 모두 끝나고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움짤 이미지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동영상을 재생하여 움짤을 생성할 시작점에서 일시 정지를 하고 시작 버튼을 먼저 누른 후 일시 정지된 동영상을 다시 재생하면 시작점을 시작으로 움짤 파일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아니면 동영상을 재생 중에 움짤을 만들기 시작할 지점에 왔을 때 시작 버튼을 눌러 움짤을 만들어도 됩니다.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종료 버튼으로 바뀌고 움짤 생성을 중지할 때 클릭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제가 지정한 경로에 움짤 GIF 파일이 저장되었습니다.
위에 동영상 캡처 창에서 설정한 값으로 생성한 GIF 움짤 이미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