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내장 하드 디스크의 데이터를 USB 저장 장치로 복사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도 하는데 이 때 많은 분들이 파일 복사 속도 저하 문제를 겪게 됩니다. 요즘은 동영상이나 게임 파일의 용량이 수 기가바이트에 이르기 떄문에 복사 속도가 떨어지게 되면 답답할 뿐만 아니라 시간도 많이 걸리게 되는데요.
파일 복사 속도는 USB 포트 버전, 하드 디스크의 쓰기 및 읽기 속도, 장치 드라이버 버전, 디스크 상태, 하드 디스크 설정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이 부분들의 문제를 해결하면 복사 속도를 충분히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USB 저장 장치로 파일을 복사할 때와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복사할 경우 모두에 한해 파일 복사 속도를 올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우선 기본으로 시스템의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이 파일 복사 속도를 떨어트릴 수 있으니 실시간 검사를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CPU와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 목차 – 1. USB 3.0 포트 변경 2. USB 드라이버 업데이트 3. USB 저장 장치 성능 향상 설정 4. USB 저장 장치 NTFS로 포맷 5. 윈도우 자동 조정 기능 비활성화 6. 원격 차등 압축 비활성화 |
1. USB 3.0 포트 변경
파일 복사 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컴퓨터와 USB 외장 하드 드라이브가 USB 3.0을 지원하는지 확인하고 지원한다면 컴퓨터의 USB 3.0포트에 USB 외장 하드 드라이브를 연결합니다.
USB 2.0의 최대 전송 속도는 초당 480Mbps이고 USB 3.0의 최대 전송 속도는 5Gbps로 이론상 속도는 USB 3.0이 USB 2.0보다 10배 이상 빠른데 여러 요인에 의해 속도가 어느 정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복사 속도를 획기적으로 올리는 확실한 방법입니다.
2. USB 드라이버 업데이트
파일 복사 속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요인이 USB 드라이버입니다. USB 드라이버가 오래되었고 설정이 잘못되거나 파일이 손상되었을 경우 파일 복사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여 파일 전송 속도를 올릴 수 있습니다.
USB 저장 장치를 컴퓨터에 연결하고 [윈도우 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어 입력란에 devmgmt.msc를 입력 후 엔터를 눌러 장치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윈도우11 경우 시작 버튼 우클릭 메뉴에서 장치 관리자를 클릭하여도 됩니다.

장치 목록에서 디스크 드라이브 하위 장치 목록에서 USB 저장 장치를 찾아 우클릭하여 뜨는 메뉴에서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클릭합니다.
드라이버 업데이트 창에서 드라이버 자동 검색을 클릭하여 최상의 드라이버를 찾아 설치합니다.
3. USB 저장 장치 성능 향상 설정
USB 드라이브의 성능을 최적화하여 파일 전송 속도를 올릴 수 있습니다.
위의 USB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장치 관리자를 실행하고 연결된 USB 저장 장치 우클릭 메뉴에서 속성을 클릭합니다.

위의 USB 저장 장치 속성 창에서 상단 정책 탭을 선택하고 제거 정책을 향상된 성능으로 변경합니다. 하단에 확인을 클릭하고 컴퓨터를 재부팅한 후 USB 저장 장치로 파일을 복사하여 속도를 확인합니다.
4. USB 저장 장치 NTFS로 포맷
USB 외장 하드나 플래시 메모리가 적절한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되지 않았을 때 파일 복사 속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USB 저장 장치는 기본으로 호환성을 중시해 FAT32이나 exFAT 파일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데 용량이 작은 파일들을 대량으로 복사할 때 속도가 많이 떨어지고 FAT32의 경우는 4GB 이상의 단일 파일을 한 번에 복사할 수 없어서 요즘 흔한 4GB가 넘는 동영상 파일을 복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USB 저장 장치를 NTFS와 호환이 되지 않는 모바일 기기들에도 연결하여 쓴다면 exFAT으로 포맷하면 좋고, 윈도우 위주로 사용하고 용량이 작은 파일을 대량으로 복사할 때 빠르게 복사하며 수 기가에 이르는 단일 동영상 파일을 복사하고 싶다면 NTFS로 포맷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포맷을 할 때는 데이터들을 다른 곳에 백업해야 합니다.
포맷하는 방법은 내장 하드 드라이브를 포맷하는 방법과 같습니다.
5. TCP 자동 조정 기능 비활성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전송할 경우 TCP 자동 조정 기능은 네트워크를 통해 TCP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이 기능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적화하고 파일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지만 이 기능을 끄는 것이 오히려 파일 복사 속도를 높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것이 여러 요인에 의해 항상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아니니 비활성화 후 파일 복사 속도가 향상되었는지 확인을 해야 하고 효과가 없는 경우는 다시 쉽게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TCP 자동 조정 기능을 끄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작업 표시줄 검색에서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검색하고 이것을 우클릭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위의 명령 프롬프트 창에 아래의 명령어를 드래그하여 복사한 후 위의 창을 우클릭하여 붙여 넣고 엔터를 누릅니다.
netsh int tcp set global autotuninglevel = disabled |
명령어 실행 후 파일을 전송하여 속도를 확인합니다. 만약 속도를 확인 후 속도에 큰 향상이 없다면 위 명령어 마지막에 disabled를 normal로 변경하여 다시 명령 프롬프트에 입력한 후 엔터를 눌러 TCP 자동 조정 기능을 활성화하면 됩니다.
6. 원격 차등 압축 비활성화
원격 차등 압축은 압축 알고리즘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전송할 때 파일의 변경된 부분만 전송하여 전송량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와 효율적이지만 변경된 부분을 검사하고 압축하는 과정에 CPU 자원을 사용하고 시간이 걸려 오히려 파일 전송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격 차등 압축 기능을 끄면 파일 전송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끄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작업 표시줄 검색에 제어판을 입력하여 검색한 후 제어판을 실행합니다.

제어판 창 우측 상단에 보기 기준을 큰 아이콘 또는 작은 아이콘으로 설정하고 설정 항목 중 프로그램 및 기능을 클릭합니다.
열리는 프로그램 및 기능 페이지에서 좌측에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클릭합니다.

위의 창이 뜨고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 빨간 테두리 안에 원격 차등 압축 API 지원의 체크를 해제합니다. 아래에 확인을 클릭하고 컴퓨터를 재시작합니다.
파일 전송 속도가 빨라졌는지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