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PC버전 광고 차단 방법 (배너 및 팝업 광고)

오늘 글에서는 카카오톡 PC버전 광고 차단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카카오톡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모바일 기기 뿐만 아니라 PC버전으로도 집이나 회사 컴퓨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카카오톡 PC버전은 카카오톡 창 하단에 배너 광고와 모니터 우측 하단에 팝업 광고를 띄우는데 사용자에 따라 이 광고들이 거슬리거나 불편할 수 있습니다.

이 광고들을 보고 싶지 않다면 카카오톡에서 광고가 뜨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데 광고 차단 프로그램을 쓰거나 윈도우에 hosts 파일을 수정하여 광고를 보내는 IP 주소를 차단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광고 차단 프로그램을 사용하려면 시스템에 설치를 해야 하고 카카오톡을 사용할 때마다 실행하거나 아니면 윈도우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을 해야 하는데 프로그램 설치를 좋아하지 않거나 시작 프로그램에 추가되는 것이 싫다면 윈도우 hosts 파일을 수정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없이 hosts 파일을 수정하여 광고를 보내는 특정 광고 서버를 차단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작업 표시줄 검색에서 메모장을 검색하고 이것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함


작업 표시줄에 검색에서 메모장을 입력하여 검색한 후 이것을 우클릭하여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파일 탭을 클릭하여 뜨는 메뉴에서 열기를 클릭


실행된 메모장에 파일 탭을 클릭하여 뜨는 메뉴에서 열기를 클릭합니다.


열기 창에 경로를 붙여 넣어 이동한 후 모든 파일이 표시되도록 설정하고 hosts 파일을 열기


위의 열기 창이 뜨고 아래의 경로를 드래그하여 복사한 후 위의 창 상단에 주소 입력란에 붙여 넣고 엔터를 누릅니다.

C:\Windows\System32\drivers\etc

이동한 폴더에 아무 것도 표시되지 않을 것이고 위의 창 우측 하단 빨간 테두리 안에 설정을 텍스트 문서에서 모든 파일로 변경하면 위와 같이 파일 목록이 나타납니다. 파일 목록에서 hosts 파일을 더블 클릭합니다.


카카오톡 PC버전 광고 차단을 위해 hosts 파일의 내용을 수정함


그러면 메모장에 위에 내용이 열리고 가장 하단에 아래의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가 매핑된 것을 드래그하여 복사한 후 위와 같이 붙여 넣습니다.

127.0.0.1 display.ad.daum.net

붙여 넣은 127.0.0.1 display.ad.daum.net 의 뜻은 display.ad.daum.net 광고 서버에 대한 모든 요청을 로컬 호스트(사용자 컴퓨터) 127.0.0.1 로 리디렉션한다는 것으로 이렇게 하면 실질적으로 광고 서버와의 연결이 차단됩니다. 따라서 광고가 표시되지 않게 됩니다.

위와 같이 내용을 수정했으면 파일 탭을 클릭하여 메뉴에서 저장을 클릭합니다.

경우에 따라 시스템에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이 위의 hosts 수정을 악성 코드에 의한 것으로 오탐지할 수 있지만 무시하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카카오톡 창 하단에 배너 광고에 kakao business라고 뜸


이제 카카오톡을 실행하면 창 하단에 배너 광고가 표시되지 않고 kakao business라고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후 바탕 화면 우측 하단에 팝업 광고도 뜨지 않게 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