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습니다.”라는 오류가 발생하면서 특정 사이트에 접속이 되지 않거나 아예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아 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종종 이 오류를 겪게 되는데요.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입력하는 도메인 주소(예 : naver.com)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으로 도메인의 IP정보를 담고 있는 서버가 DNS 서버입니다.
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습니다. 오류는 이렇게 인터넷을 사용함에 있어 중요한 DNS 서버와의 통신이 여러 요인으로 원활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아래는 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습니다. 오류의 다양한 원인과 그에 따른 해결 방법들입니다.
– 목차 – 1. 브라우저 이상 시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2. DNS 서버 주소 수동으로 변경 3. 네트워크 드라이버 재설치 4. 기타 원인과 해결 방법 ① 공유기 재부팅 ② DNS 서버 과부하 ③ 방화벽이나 보안 소프트웨어 점검 |
1. 브라우저 이상 시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가장 먼저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 DNS 오류가 사용 브라우저의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문제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크롬 브라우저에 DNS 오류가 발생한다면 다른 엣지나 파이어 폭스 브라우저에서도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여 오류의 원인이 브라우저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브라우저에서 DNS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문제는 사용 브라우저에 있는 것으로 브라우저에 쌓인 캐시 파일들이 DNS 오류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으니 모두 삭제하거나 아니면 브라우저를 재설치해야 합니다.
주요 브라우저들의 캐시 파일을 삭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방법은 주요 인터넷 브라우저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습니다.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웹브라우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삭제](https://ittomcat.com/wp-content/uploads/2024/09/인터넷-사용-기록-삭제-1.png)
DNS 오류가 발생하는 브라우저에서 단축키 [Ctrl + Shift + Delete]키를 누르면 위의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창이 뜹니다.
기간을 전체 기간으로 설정하고 인터넷 사용 기록,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캐시된 이미지 및 파일에 모두 체크를 한 후 아래에 데이터 삭제를 클릭합니다.
데이터가 삭제되었으면 DNS 오류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문제가 여전하다면 해당 브라우저를 재설치합니다.
2. DNS 서버 주소 수동으로 변경
기본 DNS 서버가 다운되거나 응답이 없으면 도메인 주소를 IP주소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습니다.” 오류가 발생하는데 DNS 서버를 수동으로 새로 지정하면 정상적으로 도메인 주소를 IP주소로 변경할 수 있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실행 창을 열고 ncpa.cpl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름](https://ittomcat.com/wp-content/uploads/2024/09/실행창-ncpa.cpl-입력.png)
[윈도우 키 + R]을 입력하여 실행 창을 열고 입력란에 ncpa.cpl을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네트워크 어뎁터 우클릭 메뉴에서 속성을 클릭](https://ittomcat.com/wp-content/uploads/2024/09/네트워크-어댑터의-속성.png)
위의 창이 뜨고 지금 사용 중인 네트워크 어댑터의 우클릭 메뉴에서 속성을 클릭합니다.
![이더넷 속성 창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를 선택하고 속성 버튼 클릭](https://ittomcat.com/wp-content/uploads/2024/09/인터넷-프로토콜-버전-4의-속성.png)
위의 이더넷 속성 창에서 이 연결에 다음 항목 사용 목록에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를 선택한 후 아래에 속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속성 창에서 수동으로 DNS 서버 주소 입력](https://ittomcat.com/wp-content/uploads/2024/09/DNS-서버-주소-입력.png)
위의 창에서 자동으로 DNS 서버 주소 받기를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으로 선택을 변경하고 위와 같이 원하는 DNS 서버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통신사와 구글에서 제공하는 기본 DNS 서버와 보조 DNS 서버의 IP 주소는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여 입력하시면 됩니다.
저는 위와 같이 임의로 구글의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하였습니다.
기본 DNS 서버 주소 | 보조 DNS 서버 주소 | |
SK | 219.250.36.130 | 210.220.163.82 |
KT | 168.126.63.1 | 168.126.63.2 |
LG | 164.124.101.2 | 203.248.252.2 |
8.8.8.8 | 8.8.4.4 |
주소를 모두 입력하였다면 하단에 확인을 클릭하여 창을 닫습니다.
이제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DNS 서버 오류가 발생하는지 확인합니다.
3. 네트워크 드라이버 재설치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오래되었거나 문제가 있을 때 “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습니다.”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제거하고 재설치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실행 창에서 devmgmt.msc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름](https://ittomcat.com/wp-content/uploads/2024/09/실행창-devmgmt.msc를-입력.png)
[윈도우 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입력란에 devmgmt.msc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사용 중인 네트워크 어뎁터 우클릭 메뉴에 디바이스 제거를 클릭](https://ittomcat.com/wp-content/uploads/2024/09/장치-관리자에-네트워크-어댑터-제거.png)
장치 관리자가 실행되고 지금 사용 중인 네트워크 어댑터의 우클릭 메뉴에서 디바이스 제거를 클릭합니다.
![디바이스 제거 확인 창에서 제거를 클릭](https://ittomcat.com/wp-content/uploads/2024/09/디바이스-제거-창.png)
위의 디바이스 제거 확인 창이 뜨고 제거를 클릭하면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가 시스템에서 삭제됩니다.
이제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윈도우가 알아서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를 새로 설치합니다.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DNS 오류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4. 기타 원인과 해결 방법
위의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도 DNS 오류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추가적으로 다음의 원인 별 해결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① 공유기 재부팅
공유기에 문제가 있는 경우 “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습니다.”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다른 기기인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에 연결하여 문제가 있는지 확인한 후 문제가 있다면 공유기가 원인일 가능성이 높으니 공유기의 전원을 끄고 1분 정도 지난 후 공유기를 다시 켜줍니다.
공유기 재부팅 후에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공유기 뒤쪽에 리셋(초기화) 버튼을 눌러 공유기의 설정을 초기화한 후 다시 접속을 시도해 봅니다.
② DNS 서버 과부하
대규모 이벤트 등 여러가지 이유로 DNS 서버에 과부하가 걸릴 경우 일시적으로 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시간이 지난 후 다시 접속을 시도해 봅니다.
③ 방화벽이나 보안 소프트웨어 점검
방화벽이나 보안 소프트웨어가 DNS 서버에 접속을 방해하거나 차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보안 소프트웨어의 DNS 서버 관련 설정을 변경하거나 실시간 감시 기능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방화벽에서 DNS 서버 주소를 예외로 설정하거나 방화벽을 일시적으로 해제한 후 접속을 시도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