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윈도우11 작업 표시줄 먹통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윈도우에 작업 표시줄은 프로그램을 쉽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게 하고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을 확인하고 전환할 수 있는 등 윈도우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이런 작업 표시줄이 가끔 마우스로 클릭을 해도 반응이 없는 먹통 상태에 빠질 때가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이 먹통 상태에 빠지는 원인은 Windows 탐색기 프로세스에 문제가 생기거나 시스템 파일의 손상, 타사 소프트웨어와의 충돌, 윈도우 업데이트, User Manager 서비스 실행 중지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아래에 소개하는 문제 해결 방법은 각 원인에 따른 해결 방법들로 원인을 모르기 때문에 하나씩 시도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 목차 – 1. Windows 탐색기 프로세스 재시작 2. 시스템 파일 검사 및 복구 3. 최근 설치한 타사 소프트웨어 삭제 4. User Manager 서비스 실행 확인 5. 윈도우 업데이트 삭제 6. 파워쉘 명령어로 작업 표시줄 복구 |
1. 작업 표시줄 자동 숨김 해제
Windows 탐색기 프로세스에 문제가 생기면 작업 표시줄이 반응없음을 보일 수 있습니다. Windows 탐색기를 재시작하여 작업 표시줄을 재시작하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이 먹통인 상태이므로 단축키 [Ctrl + Shift + Esc]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작업 관리자 창 좌측에 세로로 정렬된 탭에서 프로세스 탭을 선택하고 앱이나 프로세스 목록에서 Windows 탐색기를 선택하고 상단에 작업 다시 시작을 클릭합니다.
바탕화면이 잠깐 검은색으로 변했다가 작업 표시줄이 다시 표시됩니다. 먹통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2. 시스템 파일 검사 및 복구
윈도우의 구성 요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시스템 파일의 누락과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SFC와 DISM 도구를 이용하여 손상된 시스템 파일을 검사하고 복구합니다.
단축키 [Ctrl + Shift + Esc]키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작업 관리자 창에서 상단에 새 작업 실행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위의 실행 창이 뜨고 입력란에 cmd를 입력한 후 바로 아래에 관리자 권한으로 이 작업 실행에 체크를 하여 확인을 클릭합니다.
명령 프롬프트 창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되고 아래의 명령어를 하나씩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복사한 뒤 위의 창을 우클릭하여 붙여 넣고 엔터를 누릅니다.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sfc /scannow |
위와 같이 시스템 파일 검사 후 이상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면 이 방법은 넘어가고 아래에 다음 방법을 시도합니다.
그런데 손상된 파일을 발견하였고 복구를 하였다는 결과가 나온다면 위의 창을 닫고 컴퓨터를 재부팅한 후 작업 표시줄 먹통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또 손상된 파일을 발견하였지만 일부 파일을 복구할 수 없다.라는 결과가 나온다면 수동으로 손상된 시스템 파일을 교체해야 하는데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손상된 시스템 파일을 수동으로 복구하는 방법 (tistory.com)
복구 후 역시 컴퓨터를 재부팅하고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3. 최근 설치한 타사 소프트웨어 삭제
윈도우에 설치된 타사 소프트웨어가 작업 표시줄의 기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타사 프로그램 설치 후 작업 표시줄 먹통 문제가 발생하였다면 그 프로그램을 삭제해야 합니다.
[윈도우 키 + I]를 눌러 윈도우 설정 앱을 실행합니다.
설정 창에서 좌측 패널에서 앱을 선택하고 오른쪽 메뉴에서 설치된 앱을 클릭하면 위의 설치된 앱 목록 페이지가 열립니다. 최근에 설치한 타사 앱을 찾아 우측에 더보기(점 세 개)를 클릭하여 앱을 제거합니다.
4. User Manager 서비스 실행 확인
[윈도우 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services.msc를 입력한 후 엔터를 눌러 윈도우 서비스 도구를 실행합니다.
위의 서비스 창 서비스 목록에서 User Manager 서비스를 찾아 더블 클릭합니다.
위의 창이 뜨고 서비스 상태가 중지되어 있다면 시작 유형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서비스 상태에서 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실행 중으로 설정합니다. 아래에 적용과 확인을 클릭하고 서비스 창을 닫고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작업 표시줄 먹통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5. 윈도우 업데이트 삭제
윈도우 업데이트에는 작업 표시줄과 같은 구성 요소를 방해하는 버그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후 작업 표시줄이 먹통이 되었다면 설치한 윈도우 업데이트를 제거해야 합니다.
[윈도우 키 + I]를 눌러 윈도우 설정 앱을 실행합니다.
위 설정 창에서 좌측 패널에 Windows 업데이트 > 업데이트 기록 > 업데이트 제거로 이동하면 위의 페이지가 열립니다.
위와 같이 제거할 수 있는 업데이트 목록이 뜨고 업데이트 항목에 설치된 날짜를 보고 제거할 업데이트를 찾습니다. 제거할 업데이트를 찾았다면 우측에 제거를 클릭하여 업데이트를 제거합니다.
6. 파워쉘 명령어로 작업 표시줄 복구
먹통 문제가 위의 원인들이 아니라 작업 표시줄 자체에 문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워쉘 명령어로 작업 표시줄을 복구함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단축키 [Ctrl + Shift + Esc]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작업 관리자 창 상단에 새 작업 실행을 클릭하여 뜨는 창에서 입력란에 powershell을 입력하고 바로 아래에 관리자 권한으로 이 작업 실행에 체크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위의 파워쉘 창에 아래의 명령어를 드래그하여 복사해 위의 창을 우클릭하여 붙여 넣고 엔터를 누릅니다.
Get-AppXPackage -AllUsers | Foreach {Add-AppxPackage -DisableDevelopmentMode -Register “$($_.InstallLocation)\AppXManifest.xml”} |
작업 표시줄 복구 작업이 끝나면 창을 닫고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작업 표시줄 먹통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