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스팀 로그인 오류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팀 서버에 로그인하려면 “귀하의 네트워크에서 짧은 시간 동안 너무 많은 로그인 오류가 발생했습니다.”라는 문구가 뜨며 로그인이 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위 문구뿐만 아니라 정확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했는데도 다시 확인하고 입력하라거나 로그인 버튼을 클릭한 후 아무 반응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스팀 로그인 오류의 원인은 스팀 서버 자체에 문제, 스팀 연결을 방해하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아래에서 소개하는 방법들을 먼저 시도해보시고 만약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스팀 고객 지원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셔야 합니다.
1. 스팀 서버 문제 여부 확인
가장 먼저 스팀 서버의 장애로 로그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럴 때는 서버의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서버에 문제가 있다면 서버가 정상 복구가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지금 스팀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의 스팀 서버 상태 페이지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스팀 런처와 웹브라우저에서 번갈아 로그인
로그인 문제를 해결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스팀 런처(클라이언트)에서 로그인 오류가 발생한다면 웹브라우저에 스팀 사이트에서 로그인을 한 후 다시 스팀 런처에서 로그인을 하면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됩니다.
반대로, 웹브라우저 스팀 사이트에서 로그인 오류가 발생한다면 스팀 런처에서 로그인을 한 후 다시 웹브라우저 스팀 사이트에서 로그인을 하면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됩니다.
이 방법으로 로그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넘어갑니다.
3, 스팀 런처(클라이언트) 바로 가기에 대상 수정
이 방법은 스팀에서 다운로드 속도가 떨어질 때 속도를 올리는 방법으로도 사용되는데 스팀 로그인 오류를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스팀 런처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우클릭하여 나오는 메뉴에서 속성을 클릭합니다.

위의 스팀 런처 속성 창에서 대상에 스팀 런처 실행 파일 경로 뒤에 위와 같이 한 칸 띄우고 -tcp를 입력합니다. 아래에 적용과 확인을 클릭하고 창을 닫습니다.
이제 스팀 런처를 실행하여 로그인을 시도하여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4. DNS 주소 변경
윈도우11 기준으로 [윈도우 키 + I]를 누르거나 시작 버튼을 우클릭하여 퀵 링크 메뉴에서 설정을 클릭하여 설정 앱을 실행합니다.

설정 창에서 네트워크 및 인터넷 > 고급 네트워크 설정으로 이동하면 위의 페이지가 열리고 네트워크 어댑터를 클릭합니다.

위와 같이 아래로 메뉴가 확장되고 추가 어댑터 옵션에 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위의 이더넷 속성 창이 뜨고 이 연결에 다음 항목 사용 부분에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를 더블 클릭합니다.

위의 창에서 빨간 테두리 안에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을 선택하고 기본 설정 DNS 서버 주소는 8.8.8.8, 보조 DNS 서버 주소는 8.8.4.4를 입력합니다. 이 DNS 서버 주소는 구글 DNS 서버 주소입니다. 아래에 확인을 클릭합니다.
이제 스팀 런처를 실행하여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되는지 확인합니다.